if (조건식):
실행문1
if (조건식):
실행문1
else:
실행문2
if (조건식) & (조건식):
실행문1
실행문2
else:
실행문3
실행문4
if (조건식) & (조건식):
실행문1
실행문2
elif (조건식):
실행문3
elif (조건식):
실행문4
else:
실행문3
실행문4
people = 10
# 인덴트가 다를 경우, 에러가 발생.
if people >= 10:
print("사람이 10명이상입니다.") # indent라고 한다. 동일하게 해 준다.
print("사람이 10명이상입니다.") # 이 줄은 인덴트(들여쓰기) 공간이 다르다. 에러 발생.
print("사람이 10명이상입니다.")
File "<ipython-input-3-a5b51e4e91fc>", line 5 print("사람이 10명이상입니다.") # 이 줄은 인덴트(들여쓰기) 공간이 다르다. 에러 발생. ^ IndentationError: unexpected indent
people = 10
# 인덴트가 다를 경우, 에러가 발생.
if people >= 10:
print("사람이 10명이상입니다.") # indent라고 한다. 동일하게 해 준다.
print("사람이 10명이상입니다.") # 이 줄은 인덴트(들여쓰기) 공간이 다르다. 에러 발생.
print("사람이 10명이상입니다.")
사람이 10명이상입니다. 사람이 10명이상입니다. 사람이 10명이상입니다.
num = int( input("사람의 수는 :") )
if num >= 10:
print("사람이 10명이상입니다.") # indent라고 한다. 동일하게 해 준다.
print("사람이 10명이상입니다.")
else:
print("사람이 10명 미만입니다")
사람의 수는 :9 사람이 10명 미만입니다
age = int(input("나이가 어떻게 되나요?"))
if (age>=15):
print("입장 가능합니다. 어떤 영화 티켓을 구매하시겠어요?")
else:
print("입장이 불가합니다. 15세이상만 입장이 가능합니다.")
나이가 어떻게 되나요?17 입장 가능합니다. 어떤 영화 티켓을 구매하시겠어요?
score = float( input("학점입력해 주세요 : ") )
if score==4.5:
grade = 'A+'
elif score>=4.0:
grade = 'A'
elif score>=3.5:
grade = 'B+'
else:
grade = 'F'
print("당신의 학점은 ", grade , "입니다.")
학점입력해 주세요 : 4. 당신의 학점은 A 입니다.
for 변수 in range(시작값, 끝값, 증감값):
실행문1
for num in range(1,11,1):
print(num)
1 2 3 4 5 6 7 8 9 10
for num in range(1,11): # 마지막 증감값 1은 기본값으로 생략되면 1씩 증가
print(num)
1 2 3 4 5 6 7 8 9 10
for 변수 in ['하나', '둘', '셋', '넷', '다섯']:
실행문1
실행문2
al = ['하나', '둘', '셋', '넷', '다섯']
al = ['하나', '둘', '셋', '넷', '다섯']
for one in al:
print(one)
하나 둘 셋 넷 다섯
num = {'one':'하나', 'two':'둘', 'three':'셋', 'four':'넷', 'five':'다섯'}
for one in num:
print(one)
one two three four five
num = {'one':'하나', 'two':'둘', 'three':'셋', 'four':'넷', 'five':'다섯'}
for one in num:
print(one, num[one])
one 하나 two 둘 three 셋 four 넷 five 다섯
string = "Hello World!"
string[0] # 첫번째 선택 (파이썬은 숫자 0부터 시작)
'H'
# Hello 선택
# : 을 기준으로 앞이 시작값, 뒤에값이 끝나는 값.
string[0:5] # 첫번째(0)부터 다섯번째(4)까지 선택 (파이썬은 숫자 0부터 시작)
'Hello'
# Hello 선택
string[ :5] # 처음부터 다섯번째(4)까지 선택 (파이썬은 숫자 0부터 시작)
'Hello'
# 전체 선택
string[ : ] # 전체를 선택
'Hello World!'
string[2:5] # 세번째(2)부터 다섯번째(4)까지 선택 (파이썬은 숫자 0부터 시작)
'llo'
## 인덱싱(Indexing) : 값을 하나 하나 선택
## 슬라이싱(slicing) : 값을 조각 단위로 선택
a = [1,2,3,4,5]
print(a)
[1, 2, 3, 4, 5]
a = [1,2,'a',3,'b']
print(a)
[1, 2, 'a', 3, 'b']
print( a[1] ) # 0부터 시작하여 1은 두번째 요소를 가르킴
2
print( a[2:5] )
['a', 3, 'b']
a = [1,2,'a',3,'b']
print( a[-1] )
b
# 뒤에서부터 3개 가져오기
print( a[-3] )
a
a = [ [1,2],
[2,3],
[4,5]
]
print(a[1]) # 2번째 값([2,3])
print(a[1][1]) # 2번째 값중의 2번째 값을 가져오기
[2, 3] 3
list1 = [1,2,3]
print( list1 )
[1, 2, 3]
list1.append(4)
print( list1)
[1, 2, 3, 4]
[1,1] + [2,2]
[1, 1, 2, 2]
list2 = [1,2,3,2]
list2.remove(2) # 요소중에 2의 값을 하나 삭제(앞에서부터 봤을때)
list2
[1, 3, 2]
## 두개의 값을 한꺼번에 추가하기
list3 = [1,2,3]
list3.append([3,4])
print(list3)
[1, 2, 3, [3, 4]]
## 두개의 값을 한꺼번에 추가하기
list4 = [1,2,3]
list4.extend([3,4])
print(list4)
[1, 2, 3, 3, 4]
list1 = [1,2,3,4,5,11,22,33,44,55]
for i in list1:
print(i, end=" ") # 출력 후, 한칸을 띄우고 다음번 진행
1 2 3 4 5 11 22 33 44 55
# range(시작값,끝값,증가값)
for i in range(0,10,1):
print(i, end=" ")
0 1 2 3 4 5 6 7 8 9
for i in range(10):
print(i, end=" ")
0 1 2 3 4 5 6 7 8 9
for i in range(5, 0,-1):
print(i, end=" ")
5 4 3 2 1
season = ['봄','여름','가을', '겨울']
print("season의 요소의 개수 : ", len(season))
for one in season:
print(one)
season의 요소의 개수 : 4 봄 여름 가을 겨울
dictdat1 = { 'key1':"value1", 'key2':"value2", 'key3':'value3'}
dictdat2 = { 11:"value1", 22:"value2", 33:'value3'}
dictdat3 = { 'key1':"value1", 'key2':(1,2,3,4,5), 'key3':[1,2,3,4,5] }
# dictdat3['키값']
dictdat1['key3']
'value3'
# dictdat3['키값']
dictdat3['key3']
[1, 2, 3, 4, 5]
tuple1 = (1,2,3)
tuple1
(1, 2, 3)
tuple1[1]
2
tuple1[1] = 20 # 에러 발생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TypeError Traceback (most recent call last) <ipython-input-70-4eb5dd8d8af4> in <module>() ----> 1 tuple1[1] = 20 # 에러 발생 TypeError: 'tuple' object does not support item assignment
tuple1 = (1,2,3)
list1 = [1,2,3]
print(tuple1.__sizeof__())
dir(tuple1)
48
['__add__', '__class__', '__contains__', '__delattr__', '__dir__', '__doc__', '__eq__', '__format__', '__ge__', '__getattribute__', '__getitem__', '__getnewargs__', '__gt__', '__hash__', '__init__', '__init_subclass__', '__iter__', '__le__', '__len__', '__lt__', '__mul__', '__ne__', '__new__', '__reduce__', '__reduce_ex__', '__repr__', '__rmul__', '__setattr__', '__sizeof__', '__str__', '__subclasshook__', 'count', 'index']
print(list1.__sizeof__())
dir(list1)
64
['__add__', '__class__', '__contains__', '__delattr__', '__delitem__', '__dir__', '__doc__', '__eq__', '__format__', '__ge__', '__getattribute__', '__getitem__', '__gt__', '__hash__', '__iadd__', '__imul__', '__init__', '__init_subclass__', '__iter__', '__le__', '__len__', '__lt__', '__mul__', '__ne__', '__new__', '__reduce__', '__reduce_ex__', '__repr__', '__reversed__', '__rmul__', '__setattr__', '__setitem__', '__sizeof__', '__str__', '__subclasshook__', 'append', 'clear', 'copy', 'count', 'extend', 'index', 'insert', 'pop', 'remove', 'reverse', 'sort']
def two_num_plus(a,b):
print("두 값의 합은 :", a+b)
two_num_plus(3,5)
두 값의 합은 : 8
robot = {'안녕':'반가워 난 에프라고해.', '날씨는 좋구나':'그래 날씨도 좋고, 너도 만나서 기쁘다 좋은 날이야.'}
print(robot.keys())
dict_keys(['안녕', '날씨는 좋구나'])
for i in range(10):
word = input("대화를 입력해 주세요?(종료:q) ")
if word in robot.keys():
print(robot[word])
else:
print("무슨이야기인지 아직 모르겠어. 미안")
대화를 입력해 주세요?(종료:q) q